Ubuntu 환경에서 MySQL을 설치 및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예시는 Ubuntu 18.04 LTS 버전을 사용하였습니다.
MySQL 설치
MySQL 설치에 앞서 apt를 최신버전으로 유지하기 위해 업데이트 후 mySQL을 설치해줍니다.
sudo apt-get upadte
sudo apt-get install mysql-server
그 다음 MySQL이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해준 후에 MySQL에 접속해주면 됩니다.
# 설치확인
sudo mysql -V
# 접속(sudo는 비번 모를경우 치고 우분투 비번 치면됨)
(sudo) mysql -uroot -p
여기서 MySQL의 버전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버전에 맞는 repository를 다운로드 하고 환경설정을 진행한 뒤 위의 과정을 진행해주면 원하는 MySQL 버전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. 예시는 MySQL 8 버전을 다운로드 하기 위한 예시입니다. (Ubuntu 18.04 디폴트는 MySQL 5.7 버전)
# MySQL repository 다운로드 및 설치환경 설정
wget –c https://dev.mysql.com/get/mysql-apt-config_0.8.11-1_all.deb
dpkg -i ./mysql-apt-config_0.8.11-1_all.deb
MySQL 삭제
MySQL 삭제를 위해 만약 현재 MySQL이 실행 중이라면 먼저 중지시켜줍니다.
sudo service mysql stop
그 다음 MySQL을 삭제해줍니다.
sudo apt-get purge mysql-server
sudo apt-get purge mysql-common
MySQL이 삭제 되더라도 관련 디렉토리들은 삭제되지 않기 때문에 관련된 디렉토리도 찾아서 삭제를 진행해 주어야 합니다. 아래는 디렉토리 삭제 예시입니다.
sudo rm -rf /var/log/mysql
sudo rm -rf /var/log/mysql.*
sudo rm -rf /var/lib/mysql
sudo rm -rf /etc/mysql
재설치를 하는 경우 위의 과정을 진행하고 설치를 진행하면 정상적으로 진행됩니다.
MySQL 실행 및 Port 허용
MySQL Workbench 사용 등의 외부 접속이 필요한 경우 port 허용을 진행하여야 합니다.
sudo ufw allow mysql
#3306 port가 default이므로 같은 예시
sudo ufw allow 3306
서버를 재시작 해야 할 경우 MySQL을 자동으로 실행하게 할 수 있습니다. 아래 예제는 MySQL 실행 및 자동 실행 예제 입니다.
# mysql 실행
sudo systemctl start mysql
# 서버 재시작시 mysql 자동실행
sudo systemctl enable mysql
'BackEnd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프로세스(Process) 명령어 (0) | 2022.02.26 |
---|---|
[Linux] Ubuntu Postman 설치 (0) | 2022.02.20 |
[Linux] Linux 디렉토리 구조 (0) | 2022.02.09 |
[Linux] 로그 파일 관리_Logrotate (0) | 2022.01.05 |
댓글